세상 일들

국사편찬위원회/전자자료관(2011년도 수집 구술자료**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 추진과정과 경험)

大山(대산) 2019. 5. 27. 12:08

지난 2011.10.11.~11.08.까지 국사편찬위윈회에서 2011년도 수집 구술자료 群

"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 과정과 경험"에 대하여 김종호 前 국회의원(당시 청와대 새마을담당 비서관), 곽정현 前 국회의원(당시 부산 공장새마을연수원 원장),신용백 아주대 명예교수(당시 아주대 산업공학과 교수/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지도위원), 유경득(당시 상공부 공장새마을운동 담당관)과 총4국사편찬위원회- 2011년도 구술자료 생산자로 선정되어 녹화/녹취資料가 정리되어 아래의 경로국사편찬위원회/전자사료관史料로서 잘 정리·보관 관리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http://www.history.go.kr) 홈페이지 기본화면

 

  

 국사사편찬위원회/전자자료관(http://archive.history.go.kr)-->2011년도 사료계열 17

 


인터넷 상으로는 국사편찬위원회(http://www.history.go.kr)-->전자자료관(http://archive.history.or.kr)-->주제별 사료-->2011년도 수집 구술자료-->17. 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과정과 경험(사료계열 COH 008_17)분류 정리되있다.

핵심내용들은 각 증언자 별로 아래와 같이 DV Tape, 영상 DVD 및 녹취록 등으로 담았다. 국사편찬위원회本件 증언자는 곽정현; 김종호; 신용백; 유경득; [이정은; 임광순] 順으로 아래와 같이 역사적 자료정리 보관관리되고 있다.

생산기간
2011.10.11 ~ 2011.11.08.

사료이력
DV Tape 12개
영상 DVD 12장
구술자별 최종 CD 4장
녹취록 283매(A4)
구술시간 9시간46분(586분)
첨부자료 3개(450매)

[정리체계]
史料系列에는 구술자별 4개의 사료철이 포함되어 있음.


상기 역사적 구술자료들 중 신용백 아주대학교 명예교수(당시 아주대 산업공학과 교수)
증언 핵심내용에 다음 사항들이 녹화정리되어 있다.

 

 

 

 

‘70~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경험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신 용 백

공학박사/공장관리기술사/국제기술사

 

나에게 지난 세월의 한 토막을 되돌아볼 기회가 있었다. 즉 지금부터  8년전 1 2011.9.28일에 새마을운동중앙회2 2011.10.26국사편찬위원회 주관/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에서 1970연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에 관한 역사적 발자취의 기록정리하기 위한 구술자료 수집사업본 교수당시 공장새마을운동에 깊이 참여한 실적에서 증언자(證言者)로 선정되어 1-2시간, 2-4시간의 대담사항을 촬영녹화.녹취한 내용이CD/신용백 편로 제작되어 왔기에, 그 내용 중 일부를 회고하여 몇 줄로 정리한 글월입니다.

 

1970년대 당시 19716월 국산자동차 포니를 첫 수출하고서, 1971년도 말수출 10달러  달성(수출 1$ 달성-1964, 100$ 달성-1977, 1,000$ 달성-1995, 2011년도-수출5,552$로 세계7대 수출대국 등극), 1인당 국민소득(GNI) 1,043 달러돌파의 시대에 19730101 당시 대통령 신년사 겸 연두기자회견 시에 새마을운동을 범국민운동으로 추진을 강조하였고, 그 일환책으로 ‘731031 수출진흥확대회의시에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구상이 정립되어서 1974.02.20. 공장새마을운동중앙추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구성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이 점화되어, 1976.7.02일자에 공장새마을운동추진요강(상공부 공고 제76-63)이 제정되면서부터 1977.3.01일자에 경제4단체의 합의로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사무국: 대한상공회의소)를 설치하여, 전국 각 지역 상공회의소 및 각 지역 국가공단본부가 당해지역 공장새마을운동추진지부로서의 조직망을 갖추게 되어, 범산업적인 국민운동으로서의 공장새마을운동1974에서부터 1991년도 말(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해체)까지 17년간 조직적으로 추진전개되었답니다.

 

당시 공장새마을운동에서는 주로 추진한 사업들을 정리한다면, 당시  공장새마을운동 초창기에는 시대정신에 따른 산업계에 한국적기업풍토조성을 위한 공장의 제2가정화를 슬로건으로 기업잘되기(생산성향상, 품질향상), 노사협동체제(원가절감, 일치감조성), 근로자 잘살기(복지후생, 실질 소득사업)에 주력하였습니다. ‘80년대에 진입하여서는 시대의 발전과 공장의 현대화 등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 및 그 역점사업을 재설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공장새마을운동 시작 초기에는 자조, 근면, 협동의 새마을정신 하에다함께 잘사는 운동으로 한국적 기업풍토 구축이라는 막연한 이념과 이의 바탕 하에서한국적 노사관계 정립으로, 생산성향상을 통한 기업의 발전목적을 두고 산발적으로 분위기에 휩쓸려 추진해 왔었습니다.

             11회 상공의 날(1984.03.20.) 공장새마을운동전진대회-새마을훈장 敍勳

 

 

이의 승화발전을 위하여 19829, 당시 새마을운동중앙본부에서 전국 공장새마을운동 추진지부 새마을부()장 회의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의 시대변화에 따른 재정립 건의에 따라 연구검토되어, 본 교수의 초안(草案)으로  상공부와 공장새마을운 동추진본부에서 다음과 같이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재설정하였으 며, 기본이념 첫째: 주인의식 고취로 새 로운 생산적가치관의 확립, 둘째: 노사협조를 통한 공동운명체의 확립, 셋째: 한국적 기업풍토조성 으로 경영합리화 촉진, 넷째: 경제부 국을 위한 산업운동으로서의 행동철학으로 삼았고, 추진목표 첫째: 노사협동을 통한 생산성향상, 품질개선, 원가절감 및 경영성과의 극대화, 둘째: 한국적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체질의 강화, 셋째: 사원의 복리증진과 기업의 영속발전, 넷째: 기업경영을 통한 국가 산업경제개발의 주역으로서 복지사회구현 그리고 당시 역점추진사업으로서는 노사 공히 호응도가 높았던 추진사업들은 생산성향상, 인간관계개선, 물자절약 및 원가절감, 품질관 리, 노사협조 증진, 환경개선, 복지증진, 교육훈련실시 등 이였습니다. 공장새마을운동으로 더욱 활성화된 부분은 자주관리 소집단분임조활동, 노사협의회 운영, 각 종 세부실천운동 및 관계추진위원회 제도의 활용 등이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본 교수는 (1)공장새마을운동과 생산성향상 방안(신용백 교수 ), 공장새마을 운동추진본부, 1979. 11.발행을 비롯하여, (2)새마을운동 이론과 실제(신용백 외 共著), 새마 을운동중앙본부공장새마을운동추진 본부, 1983.12.7권의 공장새마을운동의 직접관련 전문저서(著書)新聞 및 專門誌나 각 상공회의소 機關誌 등 새 시대의 공장새마을 운동(신용백), 월간새마을(공장), ‘8102월호, 일간 내외경제코리아 헤럴드, 한국 적 경영합리화를 위한 공장새마을운동과 그 발전방향(신용백), 주간새마을신문, ’880116, 새마을신문사 등, 44()공장새마을운동에 관한 논단(論壇)을 당시에 발표 하였고, 동기간 공장관리에 관한 전문저서 총24권 발행, 논문논단 총388()의 기고/ 등재 발표하였다. 또한 전국 각 국가공단 및 각 지역에 산재해 있던 대기업그룹의 각 공장들과 상시 종업원 50인 이상의 공장새마을 운동추진대상 업체들의 각급 공장(工場)들에 생산성향 상품질향상 및 원가절감등을 위한 각 전문산업교육 실시 및 기술지도차 수백 곳을 사십수년 前에 뛰어다닌 것이 하나의 족적(足跡)으로 남게 되었으며, 시대정신으로 정권차원을 넘어 선 총화된 국민운동의 추진 전개는 나라발전을 촉진하는 구동력(驅動力)이 될 것입니다.         ******************************************************* 2019. 5. 27.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