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변잡기

1970~'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경험(신용백 편/새마을운동중앙회)

大山(대산) 2012. 11. 21. 22:51

 

공장새마을운동경험(辛氏大宗報-2012.10.30. 제19호).jpg

 

1970~'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경험

아주대 명예교수 신 용 백(30)

공학박사/공장관리기술사/국제기술사 

 

이 글은1970년대 산업화 과정의 주요 콘텐츠로 추진된 공장새마을운동의 과정을 정하고 이를 추진한 주역의 한사람으로 選定된 본인의 역사 기록을 요약한 것이다.

 이 事業은 국사편찬위원회 주관, 새마을운동중앙회 및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촬영녹화하여, 당대의 事實을 정리하여 남기려는 구술자료 수집사업本人증언자로서 선정되어 대담사항을 촬영녹화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지난 2011년 9월에 증언자로 선정되어 대담사항을 촬영녹화한 그 내용이 제1단계CD/신용백 편-새마을운동중앙회 촬영로  제작되었다. 1970년대 당시 19716국산자동차 포니첫 수출하고서, 1971년도 말 수출 10$ 달성(수출 1$ 달성-1964, 100$ 달성-1977, 1,000$ 달성-1995, 2011년도-수출5,552$로 세계7대 수출대국 등극), 1인당 국민소득(GNI) 1,043$ 돌파의 시대19730101 당시 대통령 신년사 겸 연두기자회견 시에 새마을운동을 범국민운동으로 추진을 강조하였고, 그 일환책으로 ‘731031일 수출진흥확대회의시에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구상이 정립되어서 1974.02.20. 공장새마을운동중앙추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구성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이 점화되어, 1976.7.02일자에 공장새마을운동추진요강(상공부 공고 제76-63)이 제정되면서부터 1977.3.01일자에 경제4단체의 합의로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사무국: 대한상공회의소)를 설치하여, 전국 각 지역 상공회의소 및 각 지역 국가공단본부가 당해지역 공장새마을운동추진지부로서의 조직망을 갖추게 되어, 범산업적인 국민운동으로서의 공장새마을운동1974에서부터 1991년도 말(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해체)까지 17년간 조직적으로 추진전개되었답니다.

당시 공장새마을운동에서는 주로 추진한 사업들을 정리한다면, 공장새마을운동 초창기에는 시대정신에 따른 산업계에 한국적기업풍토조성을 위한 공장의 제2가정화를 슬로건으로 기업잘되기(생산성향상, 품질향상), 노사협동체제(원가절감, 일치감조성), 근로자 잘살기(복지후생, 실질 소득사업)에 주력하였습니다. ‘80년대에 진입하여서는 시대의 발전과 공장의 현대화 등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 및 그 역점사업재설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공장새마을운동 시작 초기에는 자조, 근면, 협동의 새마을정신 하에다함께 잘사는 운동으로 한국적 기업풍토 구축이라는 막연한 이념과 이의 바탕 하에서한국적 노사관계 정립으로, 생산성향상을 통한 기업의 발전목적을 두고 산발적으로 분위기에 휩쓸려 추진해 왔었습니다. 이의 승화발전을 위하여 19829, 새마을운동중앙본부에서 전국공장새마을운 동추진지부 새마을 부()장회의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의 시대변화에 따른 재정립 건의에 따라 연구검토되어, 본인의 초안(草案)

으로 상공부와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에서 다음과 같이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再設定하였으며, 기본이념 첫째: 주인의식 고취로 새로운 생산 적 가치관의 확립, 둘째: 노사협조를 통한 공동운명체의 확립, 셋째: 한국적 기 업풍토조성 으로 경영합리화 촉진, 넷째: 경제부국을 위한 산업운동으로서의 행 동철학으로 삼았고, 추진목표 첫째: 노사협동을 통한 생산성향상, 품질개선, 원가절감 및 경영성과의 극대화, 둘째: 한국적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체질의 강화, 셋째: 사원의 복리증진과 기업의 영속발전, 넷째: 기업경영을 통한 국가 산업경제개발의 주역으로서 복지사회구현 그리고 당시 역점추진사업으로서는 勞使 공히 호응도가 높았던 추진사업들은 생산성향상, 인간관계개선, 물자 절약 및 원가절감, 품질관 리, 노사협조 증진, 환경개선, 복지증진, 교육훈련실시 등 이였습니다. 공장새마을운동으로 더욱 활성화된 부분은 자주 관리 소집단분임조활동, 노사협의회운영, 각 종 세부실천운동 및 관계추진 위원회 제도의 활용 등이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교수 공장새 마을운동과 생산성향상 방안(신용백 교수 ),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1979. 11.발행을 비롯하여, 공장새마을운동 이론과 실제(신용백 외 共著), 새마을운동중앙본부공장새마을운동추진 본부, 1983.12. 7권의 공장새마을운동의 직접관련 전문저서(著書)신문 및 전문지나 각 상공회의소 기관지 등 새 시대의 공장새 마을운동(신용백),월간새마을(공장), ‘8102월호, 일간 내외경제코리아 헤 럴드, 한국적 경영합리화를 위한 공장새마을운동과 그 발전방향(신용백),주간새 마을신문,’880116, 새마을신문사 등, 44()공장새마을운동에 관 한 논단(論壇)을 발표하였고同 期間 공장관리에 관한 전문저서 총24권 발 행, 논문논단 총388()의 기고/등재 발표된 글월들과 전국 각 국가공단 및 각 지 역에 산재해 있던 대기업그룹의 각 공장들과 상시 종업원 50인 이상의 공장새 마을운동추진 대상업체들의 각급 공장(工場)들에 생산성향상, 품질향상 및 원가 절감등을 위 한 각 전문산업교육 실시 및 기술지도차 수백 곳을 삼십 수년전에 뛰어 다 닌 것이 하나의 족적(足跡)으로 남게 되었으며, 시대정신으로 정권차원을 넘어선 총화된 국민운동의 추진 전개나라 발전을 촉진하는 구동력(驅動力)이 될 것입 니다. *************** 辛氏大宗報19호, 2面 게재/辛氏大宗會 : 201210 30일 발행 원고.

 

 

 
공장새마을운동경험(辛氏大宗報-2012.10.30. 제19호).jpg
1.9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