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변잡기

장남네가 갖어온 구포국수에 연관된 추억들~!!

大山(대산) 2022. 11. 22. 11:39
"구포국수"는 오늘 현재 부산직할시 북구 구포동 경부선 구포역/구포시장 주변에 6.25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구포역/구포장터 주변에서 제면소를 차려 국수를 많이 생산하였고, 내가 직접 본것은 1956년도 부산으로 고등학교를 유학하여, 주말에 고향집으로 귀가시 당시 경전남부선(당시 부산~삼량진~진영~마산~진주 간 석탄을 때면서 운행)을 타고 "구포역"에 정차를 하면, "구포역" 구내 공터까지 "구포국수"를 건조시키노라 대가지에 걸어 말리는 것을 보았다. 당시 내 고향집에서도 우리밀(밀 농사)을 방아간에 통밀을 빻아/분쇄하여 불그스럼한 거칠은 밀가루(요즘같은 흰 백색 밀가루가 아님)로 만든 "국수"는 구수하고도 맛났었다.
 

<구포지역 구포국수집/식당에 붙어 있는 구포국수 안내문>

<멋진 포장 박스에 담은 구포국수>

특히 나의고향집에서는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밀농사 타작후 국수를 당시 내눈으로 볼때 넓은 마당에 거득하도록 국수를 뽑아 대가지로 걸어 말리는 것을 6,25전쟁 이후 매년도 보았다. 내가 중학생시절에 미국으로부터 구호물자로 "밀가루와 우유가루(분유)"가 배급 나오면서부터 내 고향 땅에서도 "밀농사"를 짓지 않고 미국의 잉여 농산물인 미국산 밀(소맥)로 분쇄한 밀가루를 먹으면서 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걸처 밀농사를 짓지않게 되었다.
나는 요즘 말로 세칭 "잔치국수"라고 부르는 소면/국수를 좋아한다. 하루 종일 국수만 먹으도 질리지 않은 식성을 가진것을 아는 "장남네"가 신식포장을 한 "구포국수와 인삼꿀저림 및 여타 먹거리"를 잔득 갖고왔다.
"구포국수"를 보니 1953년도 이후1959년도까지 나의 청소년 중고교 학창시절과 극락세계로 가신 나의 "할머니와 어머니"께서 "국수 틀(제면기)"에서 국수를 뽑아 말리든 옛 풍경이 아스랗게 떠오른다. 당시 청소년시절 6.25전쟁 직후 어렵든 보리고개 시절에 아버지 없는(일제해방 이듬해 별세) 장손인 나를 위하여 "할머님과 어머님"께서 더욱 고생이 많았었다. 이제 내 나이도 산수를 지나 햇수를 해아린다. ***** 2022. 11. 20(일요일). 등재.
 
 
 
 
     

 

     
 
최근 국민계정에서 본 우리 제조업 비중과 생산관리
 대산  2022. 11. 17. 10:42
2022년 3분기(7~9월) 국내 코스피 상장사 601곳 중 153곳(25.5%)가 적자기록을 했다고 매스컴의 보도(11/ 17)가 있었다. 이는 3고 파도(고환율, 고물가, 고금리)의 악영향으로 원자재와 인건비, 자금조달 비용등 각종 비용이 늘어난 탓에 두 자리대 감소를 기록하였고,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도 전년대비 8.05%-->5.42%로 크게 감소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여기서 국내 제조업을 재조명해 본다면, 최근 세계은행(WB)의2022년 전 세계 GDP기준 상위 15개국 순위에서 한국은 10위(1조6,300억 달러-Global GDP Forecasts for 2022: W B-2022.10.08.)이며, 또한 세계 주요 28개국 중 총생산(GDP)의 제조업 구성비(UNIDO: 2020.07)2020년 기준 중국 다음으로 27.1%로 세계 2를 차지하였다. 우리 한국2020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21년 국민계정 잠정(한은: 2022.06.08)에서 전 산업 중 국내 총생산(GDP)대비 제조업의 비중은 2021년도 27.9(2020-27.1,2019 -27.5, 2018-29.1)%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경제의 견인차이자 버팀목인 최대산업은 제조업이다.
또한 대한상공회의소 및 각 지방 상공회의소에서 지난 38년간 국내 제조업계의 경영애로요인을 조사한 누적 결과를 분석해보면 생산관리부분의 애로27.9 %로 가장 높았었고, 그 다음은 마케팅 26.6%, 재무관리 24.1%, 인사관리 17.8% 등의 순으로 분석된바 있었다.〔기업을 위한 실무 공장운영관리(신용백ㆍ신경민), p.14.<표- 3>,<표-4>의 내용 인용, 안성상공회의소, 2013. 04.25.〕 우리나라 제조업계에서는 규모의 대소를 막론하고 기업경영 환경여건 에 영향이 절대적이고, 기업 내부적으로는 기능인력의 효율적인 양성 과 적정배치, 새로운 기술 및 작업방법의 개발과 그에 관련된 새롭고 효과적인 생산관리방식을 개발ㆍ채택함으로서 기업의 생산성향상과 수익성향상을 추구할 수있 는바, 생산관리의 목적은 기업경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으며 생산성, 경제성 그리고 나아가서는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현실적인 입장으로 생산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겠다. ******* 2022. 11. 17(목), 대입수능 시험날로 기온이 포근하여 다행이다.
 
 
     
     
 
우리 한국경제의 버팀목은 제조업, P.Q.C의 관리 철저로 지속 가능의 전진
 대산  2022. 10. 30. 12:36
2020 세계 제조 초강대국-Top10(UN 통계국: 2022. 08)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우리 한국은 제조업 총생산량 4,284억 달러(4.3%)/세계 5로 성 장하였고, 또 한편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의 2018년도와 2020년도 지표를 기준한 매년 도별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IP) 보고서(UNIDO: 2022.07)에서 우리 한국은 전 세계 152개 조사 대상국 중 1992년-14위에서 2018년-3위, 2020년-5위라고 분석·집계되었다.
최근 우리 한국의 전 산업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의 비중 2021년도 27.9(2020-27.1, 2019-27.5, 2018-29.1, 2015-29.8)%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경제의 견인차 이자 버팀목인 최대 산업은 제조업 이다. 이를 영위하는 제조기업을 위한 가장 핵심관리 포인트 생산성(P) ㆍ 품질(Q) ㆍ 원 가(C)의 본질과 그 향상 원리 및 경제적 추진방안의 핵심 포인트들을 각항 들과 같이 정리하여, 1. 우리 생산기술과 생산관리 및 생산성ㆍ품질ㆍ원 가의 상호 관계, 2. 생산성 및 생산성 향상의 원리 적용과 실천 방안 및 그 향상 효과, 3. 품질 향상을 위한 불량 개선대책과 효과적인 TQM의 추진, 4. 제조 기업에서 원가와 극한 원가절감(ECR) 추진 및 원가관리 등 제조업 경쟁력 강화의 지속 가능을 위한 각기 핵심들을 요약정리한 기술 축적의 핵심 방법론과 실천 방안들의 키·포인트를 정리한 원고 한국기술사회/한림원의 원로회원들 중 선정 받은 집필자 중 한 사람으로 공장관리 분야에 대한 "제조 기업에서 생산성. 품질. 원가의 상호 관계와 그 핵심 관리 포인트(신용백)" 원고 탈고로 책자 발간 준비를 위한 원고송고 전에 오자 또는 맞춤법 확인 등 자구 수정의 마지막 검토 단계에 왔다. *** 2022.10. 30. 공장관리 기술사/공학박사 신 용 백 등재.

 
 
     
     
     
     
     
     
 
페이지 이동하기1현재 페이지2
 
     
대산
ybshin2645 블로그 도메인 설정

大學敎壇에서 42년간을 오르내린 老 敎授 

프로필

글쓰기 
관리·통계

카테고리

^

최근댓글

 

 

0지도위에 글 관리

국내지도

 
크게보기

위치가 첨부된
글이 없습니다.

맛집, 여행, 사진의 추억을
지도위에 남겨보세요

포스트 쓰기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