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중앙회/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1970~80년대 새마을운동 원로지도자들의 증언인터뷰녹화를 위하여,당시의 새마을운동의 기수였던 각 분야의 원로 새마을지도자 50여명을 選定하여 역사적 증거자료의 일환으로 당대의 각 새마을운동추진현황을 역사적 기록으로 정리하기 위한 인터뷰錄畵事業에 본 교수도 공장새마을운동분야를 代表하여 함게 선정되어, 지난 2011.9.28. 나의 自宅으로 촬영대담팀이 찾아와서 대담식 인터뷰장면을 촬영녹화하였다.
당시 공장새마을운동 추진방법론과 새로운 이론적 체제 등을 구축한 본 교수가 著述한 關係 著書(새마을운동중앙본부 및 대한상공회의소/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발행)들을 일부 기증하였으며, 그 날 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요약정리하여, 여기에 메모(Memo)로 남겨두는 바이다.
⁂2011년 9월 28일, 辛容伯 교수의 錄畵畵面
주관 : 새마을운동중앙회 촬영녹화제작***CD/신용백 교수 편-동영상(22分)** (영산영월辛氏카폐)http://cafe.daum.net/rokssg->신씨(辛氏)뿌리찿기 메뉴 ->제30世 신용백(辛容伯) 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증언 클릭.
공장새마을운동에 관한 인터뷰 중에(2011.9.28)
1. 공장새마을운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
1973년1월1일 대통령신년사에서“근면, 자조, 협동”하는 새마을운동에 농촌,도시민,기업가,근로자 등이 다함께 참여하여 국력배양에 기여토록 강조한대서 확산의 계기가 되었으며,'73년10월31일 수출진흥확대회의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구상이 정립되어 공장새마을운동이 태동하였고,‘74.02월에 공장새마을운동추진기구(중앙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장새마을운동이 점화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근거로 1976년 7월 공장새마을운동추진요강(상공부 공고 제76-63호)이 제정되었고, 이어 1977년 02월 대한상공회의소 내에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가 설치되어 조직적인 공장새마을운동이 전개•확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때 자조,근면,협동의 새마을정신으로만 맹목적으로 열심히만 할 것이 아니라, 本人의 專功인 産業工學(IE)분야에서 工場이란 곳은 가장핵심 포인트가 생산성향상, 품질향상, 원가절감 및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수익성향상을 기하기 위하여서는 학문적인 접근이 유효하리라고 여기든 차에 당시 재직 처인 한국생산성본부(KPC) 전문위원으로 1975년도부터 “공장새마을운동지도자 연수과정”의 생산성향상분야 講師로 위촉 出講하면서부터, 공장새마을운동에 관심과 이에 대한 연구로서 첫인연을 맺었으며,이어 1976년 3월 本人이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로 轉職한 후, 1979년 4월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전문지도교육단이 설치되면서 生産性向上分科의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와 서울 공장새마을운동추진협의회 및 경기도 공장새마을운동추진협의회의 "지도위원"으로 위촉되어, 공장새마을운동에 깊은 인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3. 공장새마을운동에서는 주로 어떠한 사업을 추진했습니까?
1980년도에 진입하여 공장새마을운동 초창기에는 산업계에 한국적 기업풍토조성을 위한 “공장의 제2가정화”를 슬로건으로 ①기업 잘되기(생산성향상, 품질향상), ②노사협동체제(원가절감, 일치감조성), ③근로자 잘살기(복지후생, 실질소득사업)에 주력하였습니다.
‘80년대에 進入하여서는 시대의 발전과 공장의 현대화 등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 및 그 역점사업을 재설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즉, 공장새마을운동 시작 초기에는 “자조, 근면, 협동의 새마을정신 하에「다함께 잘사는 운동으로 한국적 기업풍토 구축」”이라는 막연한 理念과 이의 바탕 하에서 「한국적 노사관계 정립으로, 생산성향상을 통한 기업의 발전」에 목적을 두고 산발적으로 분위기에 휩쓸려 추진해 왔었습니다.
즉, 공장새마을운동의 점화(1974)--> 정신계발/새마을교육-->여건조성/조직개발-->인간관계개선/일체감조성-->노사협조증진/노사협의회활동-->생산성향상/과학적 공장관리와 제안, 분임조활동-->복지증진/복지시설, 산업안전및 후생제도 개선-->대외지원(인보)사업/불우이웃돕기, 자연보호, 산학협동-->기업체질강화로 복지사회구현/공장의 제2 가정화의 실현을 위한 단계적 발전을 위한 추진노력을 해 왔었습니다.
이의 승화발전을 위하여 1982년 9월, 새마을운동중앙본부에서 全國 공장새마을운동추진지부 새마을부(과)장 회의시 “공장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추진목표”의 시대변화에 따른 再定立 건의에 따라 연구•검토되어「1983년도 공장새마을운동추진지침」으로 본 교수(신용백)의 草案으로 상공부와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에서 다음과 같이 그 기본이념과 추진목표를 재설정 하였습니다.
기본이념
첫째: 주인의식 고취로 새로운 생산적 가치관의 확립
둘째: 노사협조를 통한 공동운명체의 확립
셋재: 한국적 기업풍토조성으로 경영합리화 촉진
넷째: 경제부국을 위한 산업운동으로서의 행동철학
추진목표
첫째: 노사협동을 통한 생산성향상, 품질개선, 원가절감 및 경영성과의
극대화
둘째: 한국적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체질의 강화
셋째: 사원의 복리증진과 기업의 영속발전
넷째: 기업경영을 통한 국가산업경제개발의 주역으로서 복지사회구현
그리고 당시 역점추진사업으로서는 노사 공히 호응도가 높았던 역점추진사업들은 ①생산성향상, ②인간관계개선, ③물자절약 및 원가절감, ④품질관리, ⑤노사협조 증진, ⑥환경개선, ⑦복지증진, ⑧교육훈련실시 등 이였습니다.
공장새마을운동으로 더욱 활성화된 부분은 ①자주관리 소집단분임조활동, ②노사협의회운영, ③각종 세부실천운동 및 관계추진위원회 제도의 활용 등이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4. 공장새마을운동사업추진 상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당시의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애로사항과 문제점을 본교수가 조사•분석하여 대한상공회의소/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에서 연구용역을 맡겨주신 결과물인“9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새로운추진방향(1989.12.26--신용백, 이동우 교수 共著)”pp.13~15에 명시한 사항을‘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상의 애로사항을 요약 정리한다면, 종업원의 참여의식 부족과 경영층의 이해 및 관심부족, 효과적인 추진기법을 찾지 못하여, 추진방향의 불투명, 교육자료의 부족과 공장새마을지도자의 신분보장 미흡, 추진예산의 부족 등의 순으로 당시에 분석되었습니다.
그리고 공장새마을운동 추진상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업종, 규모 및 경영방침, 생산방식 등에 따라 업종별, 공정별로 천차만별이지만 당시 업계의 공통문제점은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pp.14~15)
①공장새마을운동의 본질과 기본이념 및 추진목표의 이해부족
②기업경영활동과 공장새마을운동과의 연계 불충분
③공장새마을운동 실천사항과 기업경영 추진목표와의 유리
④계속적인 동기부여실현을 위한 교육훈련으로서의 공장새마을
교육의 허실화
⑤당시 일원화된 공장새마을분임조활동의 확산과 추진상의 기반
빈약
⑥공장새마을지도자의 육성과 우수지도자 및 분임조에 대한 인센
티브 미흡
⑦공장새마을운동의 확산•심화를 위한 홍보활동의 미흡
⑧공장새마을운동의 내실을 저해하는 형식적인 행사위주의 활동
⑨공장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관계전문직무교육의 강화와 여타
산업기술 활동과의 연계체제 미흡
⑩범국민운동으로서의 새마을운동을 정점으로 한 한국적 산업합
리화 운동인 공장새 마을운동과 연계된 제반 전문산업합리화
운동과의 역할과 기능 및 실천목표 등의 분담조정•평가 기구
및 기능의 부재 등을 손꼽을 수가 있습니다.
11. 공장새마을운동 前後의 산업계는 어떻게 변화했습니까?
공장새마을운동을 전개하든 74년~90년도 초반까지의 기간을 前後하여 비교한다면,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행하든 시점에 국내 工場들은‘60년대 건설한 울산화학콤플렉스,‘70년대 건설한 창원기계공단을 제외하면, 노동집약적 단순조립 공장이나 봉제, 가발, 전자기기조립 등 수작업형태의 단순노동 공장이 많았습니다. 지금은 시대의 발전과 함께 각 지역별 농촌지방에도 중소기업공단들이 많이 생겼으며, 대기업들은 전문기술 집약형 자동화공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전문적인 경영관리와 공장관리기술 및 고도의 로봇 등 전문 자동화기술과 IT기술의 융합과 함께 공업국가로 또 수출대국으로 발전하여, 우리나라가 2010년도말 기준 기준 국내 명목총생산(GDP)규모는 1조 143억$로 세계 15위 수준이고, 1인당 GDP=20,591$로 세계 34위, 교역액 세계 9위, 외환보유액 세계 6위, OECD의 29번째 회원국으로 선진국대열로 향하고 있습니다.
12. 후배들이나 국민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씀은 무엇입니까?
기업 및 공장운영관리는 시대발전 및 기업의 발전과 대형화 전문화에 따라 더더욱 전문적인 관리방법이나 고도의 전문기술이 요구되며,그에 따라 적응해나가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 시대정신이 꼭 있어야 하겠습니다.
나만이 아닌 우리 모두가 다함께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하여 온 국민이 다함께 참여하는 국민운동으로서의 새마을운동처럼 그 시대정신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그리고 시대변화에 따라 적의 조정하여 정권별로 활동하는 단기 국민운동이 아닌, 조국과 민족의 발전을 위한 그 시대정신을 심어주는 국민운동이 그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게 되고, 과거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나 공산군에 항거하여 목숨을 잃고 먼저 가신 님들이 愛國者로 존경받는 것 처럼, 오늘 현 시대에는 그 시대정신을 바탕으로,조국과 민족의 발전을 위해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를 위해 국민운동과 산업발전에 앞장을 서서 발로 뛰신 그 분들도 새로운 愛國者로 칭송받아야 할 대상임을 재인식하여야 하겠습니다.
제1차 대담녹화 일자: 2011. 9. 28 /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운동중앙회<<*****>>
대담자: 아주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공학박사/공장관리기술사 신 용 백.
제2차 대담녹화일자 : 2011. 10. 26 / 성남시 분당구
주 제: 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추진과정과 경험(신용백 구술편)
주 관: 교육과학기술부 국사편찬위원회/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촬영녹화
<***> 대담자 :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신 용 백.
'세상 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회 辛氏 全國청장년연합회 체육대회(2014.5.24-강원도 영월) 개최 참석 (0) | 2014.05.27 |
---|---|
제5회 대전 孝文化 뿌리축제(2013.10.11~13) 참관 (0) | 2013.10.28 |
KSA同友會의 장봉도 섬나들이(2011. 6. 18, 土요일) (0) | 2011.06.21 |
2010 庚寅年을 歷史 속에 묻으면서, 年末 뒷 정리 (0) | 2011.01.12 |
辛氏大宗報 제12호(2010.7.26.** 삶의 지혜와 아름다운 老年을 위한 바람) (0) | 201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