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일들

2023년도 계묘년에 늑대를 만난 격인 세계 경제한파 속에 한국의 수출입 전망

大山(대산) 2023. 1. 3. 11:02

2023년도 세계경제 전망"영구적 위기(Permacrisis)"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지속적인 물가상승, 에너지 위기, 정치적 불안정 등 세계가 함게 격은 코로네 펜네믹, 인플레이션 등 여러 요인들이 악재로 쌓여 현재의 세계 경제위기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기에 주요기관들의 2023년도 세계경제전망치를 1.6~2.7%대로 전망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 한국은 지난 2022.12.22.-정부관계부처 합동: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경제성장률 2022년 2.5%-->2023년 1.6%, 취업자 증가 2022년 81만명-->2023년 10만명, 소비자물가 2022년 5.1%-->2023년 3.5% 로 전망/발표 하였다.

그리고 2023.01.01.-산업통상자원부"2022년 연간 수출입동향"발표에서 2022년 수출입실적과 2023년도 한국무역협회(2022년 수출입 평가 및 2023년 전망-IIT: 2022년 31호)의 수출입전망치를 비교하여 대비하여 본다면 다음<표>와 같다.

 

 <표>     2022년도 수출입 실적치와 2023년도 수출입 예측치

구  분 2022년도 실적치 2023년도 예측치
수 출 6,839.5억 달러 6,624억 달러
수 입 7,311.8억 달러 6,762억 달러
무역총액 14,152.2억 달러 13,386억 달러
무역수지 472.3억 달러 138억 달러

주) 2022년도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3년도 자료- 한국무역협회자료.

 

종합하면 2023년도 예측치는 수출은 전년대비 4% 감소, 수입은 8%감소로 무역수지는 138억 달러 적자를 전망하고 있다. 

최근 "세계 수출시장 1위품목으로 본 우리나라 수출경쟁력 보고서(한국무역협회: 2022.3.14)"에 의하면 2020년도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 1위품목수" 1위 국가는 중국(1,798개 푸목), 2위-독일(668개), 3위-이탈리아(201개 ),  4위-일본(154개), 5위-인도(148개) 그리고 우리 한국10위-한국(77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 우리한국의 동향은 2010년도-13위(71개), 2015년도-14위(68개), 2020년도-10위(77개)로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한국은 수출규묘 세계 7위의 수출대국이지만 "품질과 가격"면에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갗춘 수출상품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 문제이다. 세계시장의 상대적 비교우위을 위해 기술개발과 품질관리(QC)와 품질경영(QM)의  추진방법에 타성에  젖은  QC & QM이 아닌 냉정한 반성과 발상의 전환이 요구된다. ******* 2023. 01. 03.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