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5년간 국가부채가 대폭 늘어났다. 문재인 정부에서 늘어난 국가채무(416조원)는 이전 두 정부(이명박·박근혜)에서 늘어난 것(351조원)보다도 더 많다. 국가채무가 늘어난 것은 누구가 책임져야 하는 것인지~?? 국가발전을 위하여 빚낸 것이라면 무책임인 것인가? 이에 대한 책임소재도 이 차제에 분명히 하여 방만한 공기업운영이나 국가 재정운영에 책임한계를 분명히 하여야 하고, 책임질 者가 없으면 이는 대통령이 책임(대통령 업적 및 역사적 평가 등)을 져야 한다.
한국경제연구원(KDI)은 지난달 “국가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한국은 2032~2033년경 국가신용등급(무디스 기준)이 1단계 강등되는 임계치에 도달하며, 경제성장률은 0.58%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매년 11조원이 넘는 국내총생산(GDP)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기획재정부는 GDP 대비 재정적자(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현 5% 대에서 내년부터 3%이내로 낮춰 관리하기로 했다. GDP 대비 국가채 무비율은 2027년까지 50%대 중반으로 유지하기로 했다(2022 국가재 정전략회의-2022.7.07). ******* 2022. 7. 08. 등재.
'세상 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동향 (0) | 2022.08.04 |
---|---|
세계경제의 악화로 우리경제도 악화되고 있다. (0) | 2022.07.17 |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최고/1위가 많다. 그 중 65세 이상 노인 취업률 1위는 우리를 고생길로 몰고가네~!! (0) | 2022.06.30 |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한덕수에 정책운영의 생산성 기대 (0) | 2022.05.28 |
제20대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즈음하여 (0) | 2022.05.11 |